제사상 아버지 제사지방쓰는법 및 제사상음식 위치 및 순서 기준

제사상 아버지 제사지방쓰는법 및 제사상음식 위치 및 순서 기준

제사상 아버지 제사지방쓰는법 및 제사상음식 위치 및 순서 기준에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매번 하는건데도 매번 헷갈립니다. 지방 쓰는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간단한 규칙만 알면 됩니다. 지방을 쓰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과 가족 관계에 따라 지방 쓴느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 지방 쓰는 양식도 알려드릴 테니 한지 위에 올려놓고 그대로 작성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지방 쓰는 법 준비물

요즘은 이런 세트도 있습니다. 다이소 지방세트..

간편하게 사서 쓰세요.

지방 쓰는 법

지방 쓰는 규칙은 위쪽부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됩니다. 한자로 써야해서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규칙이 어렵진 않지만 복잡하다고 생각되시면 위의 양식을 참고하세요.

1. 고인과의 관계

제사를 모시는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나뉩니다.

조부모: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아버지: 顯考(현고)

어머니: 顯妣(현비)

남편: 顯辟(현벽)

아내: 亡室(망실)

형: 顯兄(현형)

형수: 顯兄嫂(현형수)

동생: 亡弟(망제)

자식: 亡子(망자)

2. 고인의 직위

고인의 직위는 벼슬의 급에 따라 나뉘지만 현대에서는 벼슬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남자조상인 경우는

그 부인의 경우는

으로 표기하시면 됩니다.

3. 고인이 이름

남자조상: 學生(학생)

여성, 부인: 孺人(유인) + 본관성씨

형제, 자식: 이름

4. 고인의 자리

모두 신위라 작성합니다.

고조부모 지방 쓰는 법

증조부모 지방 쓰는 법

조부모 지방 쓰는 법

부모 지방 쓰는 법, 아버지 지방 쓰는 법

처 지방 쓰는 법

형 지방 쓰는 법

형수 지방 쓰는 법

지금 까지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우리나라 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지역마다 집집마다 조금식 상이한 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가장 기본적은 원칙은 동일하기에 원칙만 알고 있으면 지방 쓰는법처럼 쉽습니다. 그럼 아래에 규칙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살아생전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는 풍습이 잘 스며들었기에 피자, 치킨 이런것도 올리는 추세입니다. 너무 얽매이지 마시고 고인이 살아생전 좋아하던 음식 위주로 제사상을 차려보는것도 어떨까요?

차례 시간

차례의 뜻은 설과 추석 등 명절 아침에 지내는 제사를 뜻합니다.

  • 시간 : 낮
  • 대상 : 다수의 조상님
  • 설 차례 : 새해에 조상님에게 음식을 올리는 의례
  • 추석 차례 :농사를 지어 새로 나는 음식을 올리며 조상님의 음덕을 기리는 의례

제사

제사라고 하면 기제사라고도 하며,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제사는 기제사를 뜻합니다. 또한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 시간 : 저녁
  • 대상 : 고인

제사상 차리는 법

방향은 제사 지내는 사람을 기준으로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입니다.

가운데 지방을 중심으로 양쪽 끝에 촛대를 놓으시고 음식은 1열 ~ 5열까지 나눠서 배치합니다. 지방 가까이 있는 열이 1열이고 먼쪽이 5열이 되겠습니다.

기본 원칙

  • 홍동백서 : 붉은 과일 동쪽, 흰 과실 서쪽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감 배 순서
  • 생동숙서 : 김치는 동쪽, 나물은 서쪽
  • 서포동혜 : 포는 서쪽, 식혜는 동쪽
  • 좌포우해 : 포는 왼쪽, 젓갈은 오른쪽
  • 어동육서 :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
  • 동두서미 :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건좌습우 : 마른 것 왼쪽, 젖은 것 오른쪽
  • 잔서초동 : 술잔은 서쪽에 초접은 동쪽에
  • 천산양수 : 하늘에서 나는 것은 홀수로
  • 지산음수 : 땅에서 나는 것은 홀수로
  • 접동잔서 :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

위 순서만 알고계시다면 어떤 차례든 제사든 문제없을 겁니다. 이상으로 제사의 모든것에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 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 6959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